| 사용상 주의사항 |
4. 이상반응
1)~ 2) <생략>
3) 정신신경계 :
(1)~(3): <생략>
<신설>
4) <생략>
5) 근골격계
(1)~(3): <생략>
<신설>
6) <생략>
7) 혈액
(1)~(4): <생략>
<신설>
8) 기타
(1)~(3): <생략>
<신설>
5. 일반적 주의
1)~8) <생략>
<신설>
9) ~13)
10. 과량투여시의 처치
<신설>
마우스, 랫트, 개, 원숭이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<생략> |
4. 이상반응
1)~ 2) <생략>
3) 정신신경계 :
(1)~(3): <생략>
(4) 빈도불명: 조증
4) <생략>
5) 근골격계
(1)~(3): <생략>
(4) 빈도불명: 간대성근경련
6) <생략>
7) 혈액
(1)~(4): <생략>
(5) 빈도불명: 골수부전(재생불량빈혈 포함)
8) 기타
(1)~(3): <생략>
(4) 빈도불명: 피부 과다색소침착
5. 일반적 주의
1)~8) <생략>
9) 간대성 근경련(Myoclonus)
레보플록사신 투여 환자에게서 간대성근경련 사례가 보고되었다. 간대성근경련 위험은 노인환자에서 그리고 크레아티닌 청소율에 따라 레보플록사신 용량이 조절되지 않은 경우 신장애 환자에서 증가한다. 간대성근경련 최초 발생 시 레보플록사신 투여를 즉시 중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실시해야 한다.
9) 시각장애
10) 혈액장애
레보플록사신 투여 시 골수부전(백혈구감소증, 중성구감소증, 범혈구감소증, 용혈빈혈, 혈소판감소증, 재생불량빈혈, 또는 무과립구증 포함)이 발생할 수 있다. 이들 혈액장애가 의심될 경우 혈구 수를 모니터링해야 한다. 결과상 이상이 있을 경우, 레보플록사신 투여 중단을 고려해야 한다.
11) ~15)
10. 과량투여시의 처치
과량투여 징후로 간대성근경련이 나타날 수 있다.
마우스, 랫트, 개, 원숭이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<생략> |